-
[특별기고] 이재용 삼성 부회장 판결에 대한 단상선택적 정의에 대한 경계, 서생의 문제의식과 상인의 현실감각의 조화
2021.01.20@ 김정호 -
[기고] 한빛원전의 지역 지원사업과 일자리 창출
2021.01.19@ 조성은 -
기고-시대가 요구하는 도시의 기준김삼호 광주 광산구청장
2021.01.17@ 류성훈 -
[기고] COVID19가 앞당긴 미래 교육매년 우리는 당연한 듯 푸르름과 새 희망을 갖게 하는 새로운 봄의 기운을 교정에서 온몸으로 느끼고 맞이한다. 그 새침한 온도와 봄의 향기는 삼삼오오 어색한 긴장감으로 무장한 채 나2021.01.13@ 탁동길
-
일신·전일방직 어떻게···오래된 미래의 자산, 개발의 과제'광주의 역사는 얼마나 됐나요?' 몇년전 환경포럼 발표자로 초청한 외국 인사에게 들었던 질문이다. 광주에 초대한 손님인 만큼 광주에 대한 이해도 있었으면 해서 이동하는 차에서 '광2021.01.10@ 최지현
-
[칼럼] 코로나 대비한 'MMR접종'에 대한 제언2019년말 중국 우한에서 발생한 Covid-19 팬데믹이 1년 사이에 전세계 인구 1%를 감염시키고, 180만명이 넘는 사망을 초래했다. 국내에서도 대대적인 사회적 거리두기, 마2021.01.05@ 국훈
-
[기고] 국사봉에 올랐다인곡마을 어진골짜기 위로 요 며칠 내린 눈이 소복하다. 뽀드득 소리에 세배길 동심이 살아난다. 밑바닥은 얼었다. '또 미끄러지지 말고 조심하세요.' 막내의 아침 당부가 뇌리를 깨운2021.01.05@ 전동호
-
일신·전남방직 어떻게 생각 하십니까- 전남, 일신방직 부지의 가치와 활용광주 공동체에 지혜를 모아 해결해야 할 과제가 던져졌다. 소위 전남·일신방직 부지가 개발회사에 매각되었고 공업지역을 준주거지역이나 상업지역으로 용도 변경하려는 사전협상이 진행 중에2021.01.05@ 천득염
-
일신전남방직 어떻게- 도시다양성과 경제활성화를 위한 광주 미래유산상하이 포탁구의 방직공장은 1999년 생산이 중단되자 실직자들의 보상을 위해 공장을 예술가들에게 임대하였고, 이렇게 시작된 M50은 현재 150여개의 아트스튜디오, 갤러리, 창의기2020.12.28@ 정성구
-
[기고] 무등의 정신으로 위기의 강을 건너자경자년 한 해가 저물어간다. 2020년은 가히 '코로나19의 해'라 불러도 과언이 아닐 만큼 정체불명의 바이러스가 전 세계에 안긴 충격은 대단했다. 특히 '우리' 문화, '정(情)2020.12.23@ 임택
-
기고- 책임 있는 자율방역이 필요한 시기2020년은 전 세계가 '코로나-19'로 패닉에 빠진 한해였다. 지난해 이쯤 중국 우한지역에서 처음 발생보도가 시작된 후 이 바이러스는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미국, 일본, 유럽은 물2020.12.29@ 무등일보
-
기고- 5·18민주화운동 40주년, 세밑 단상(斷想)올해는 5·18 민주화운동 40주년이 되는 해로 광주의 희망을 노래하는 많은 일들을 이루어 냈다. 특히 이번 정기국회에서는 광주의 염원인 5·18 관련 3법 개정안이 모두 통과되었2020.12.22@ 윤목현
-
기고- 광주의료원 설립, 시는 적극 나서야 한다매일 아침 코로나 현황을 문자로 중계 받고 있다. 연말을 맞으며 이 지역에서도 1천명을 훌쩍 넘어섰다. 대유행이 지속되면서 지난 12월 24일부터 5인 이상 집합 금지 등 강력한2020.12.28@ 정성국
-
일신·전남방직 어떻게···-빛의 숲과 문화의 삼각주일제강점기, 학동에 들어온 가네보 방적이 1935년 임동으로 옮겨오며 시작된 이 땅의 역사는 해방 후 일신전남방직으로 이어져 85년을 넘기고 있다.이곳은 광주의 근대산업유산이자 방2020.12.20@ 조동범
-
[특별기고]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동아시아 플랫폼의 성공적 건립과 운영을 기대하며이수재(한국환경정책 선임연구위원)
2020.12.30@ 강동준 -
5·18 40주년에 부쳐- 5·18의 정신은 소수자에 대한 연대, 2020년의 소수자는 누구인가5·18이 10년도 훌쩍 지난 후 광주에서 태어난 내가 5·18로부터 배운 것은 '소수자에 대한 연대' 정신이다. 당시 광주 시민들은 자신과 상관도 없는 이들이 다치고 쓰러지는 것2020.12.16@ 권소연
-
기고- 왜곡의 빌미 제공한 대학교수의 하잘것 없는 잡문철학교수인 최진석 교수가 며칠 전 국회에서 통과된 '5·18 역사왜곡처벌법'을 비판하는 시 '나는 5·18을 왜곡한다'를 썼다. '역사는 논픽션'이라고 생각하는 역사학자의 입장에서2020.12.15@ 최영태
-
전남·일신방직 어떻게 생각하십니까- 광주·전남지역민의 혼과 얼이 서린 곳한 때 광주경제를 견인했던 전남방직과 일신방직이 문을 닫았고 그 부지는 민간업자에게 매각됐다. 그곳은 일제의 경제수탈 현장이고 어린 여성 노동자들의 애환이 서린 곳이지만, 해방 이2020.12.14@ 김덕진
-
[기고] 취업반 학생들에게도 사회적 관심을지난 3일 온 국민들의 관심 속에서 대학입학수학능력시험이 끝났다. 수능시험을 치른 일반계고등학교 학생들은 대부분 대학진학이 목표이고 이제부터 수시와 정시 전략 등 본격적인 대학입시2020.12.08@ 이정선
-
[기고] 괜찮아, 잘 될거야. 너에겐 눈부신 미래가 있어."선생님 안녕하세요." 멀리 내 얼굴을 보려 달려오는 세훈이가 반갑게 인사를 건넨다. "안녕, 어서오너라". 그 뒤를 따르던 소윤이도 큰 목소리로 인사를 건넨다. 불과 몇 달 전만2020.12.06@ 김명선